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강아지 기생충: 종류와 예방법

by 야생똥강아지 2025. 2. 26.

안녕하세요 피터는 제가 회사에 다닐때 회사앞 박스에 버려졌던 강아지인대요

그때당시 1달 반정도 된 강아지였는데 집에 데려와 박힌돌 강아지 봉구의 사상충약을 피터가 조금 떼어 먹었었는데

좀 지나고나니 똥쌀때 파스타면 같은 길고 움직이는 기생충 2마리가 나와 충격을 받아...

그때부터 약을 꾸준히 먹여 그다음부터는 볼수 없었는데요 오늘은 이 에피소드와 관련된 이야기를 해볼까 합니다.

 

강아지를 키우다 보면 기생충 감염은 흔히 발생할 수 있는 문제 중 하나입니다. 기생충은 강아지의 건강을 위협할 뿐만 아니라, 심한 경우 심각한 질병을 유발할 수도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강아지에게 감염될 수 있는 주요 기생충의 종류와 감염 경로, 그리고 예방법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강아지 기생충: 종류와 예방법
강아지 기생충: 종류와 예방법

강아지에게 감염되는 주요 기생충 종류

강아지에게 영향을 미치는 기생충은 크게 외부 기생충과 내부 기생충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1) 외부 기생충

외부 기생충은 강아지의 피부와 털에 기생하며, 주로 피부병이나 가려움증을 유발합니다.

🦟 벼룩 (Fleas)

가장 흔한 외부 기생충 중 하나로, 강아지의 피부를 물어 피를 빨아먹습니다.

감염되면 강아지가 심하게 긁거나 피부염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벼룩의 배설물은 검은 가루처럼 보이며, 강아지의 털 사이에서 쉽게 발견될 수 있습니다.

🕷 진드기 (Ticks)

풀밭이나 숲속에서 쉽게 감염될 수 있는 기생충입니다.

혈액을 빨아먹으면서 여러 가지 질병(라임병, 바베시아증 등)을 전염시킬 수 있습니다.

진드기가 피부에 붙어있는 경우 직접 제거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옴진드기 (Mites)

옴진드기에 감염되면 심한 가려움증과 피부 염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주로 면역력이 약한 강아지에서 발생하며, 빠르게 전염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2) 내부 기생충

내부 기생충은 강아지의 소화기관이나 혈액 속에서 기생하며, 건강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 회충 (Roundworms)

새끼 강아지에게 가장 흔하게 발생하는 내부 기생충입니다.

감염되면 구토, 설사, 체중 감소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회충은 변을 통해 다른 동물이나 사람에게도 전염될 수 있습니다.

🪱 촌충 (Tapeworms)

벼룩을 통해 감염되는 경우가 많으며, 강아지의 장 속에서 길게 자랍니다.

감염된 강아지는 항문 주위를 긁거나, 배변 시 기생충 조각이 발견될 수 있습니다.

🪱 십이지장충 (Hookworms)

피부를 뚫고 들어가거나 감염된 변을 통해 전염됩니다.

빈혈을 유발하며, 새끼 강아지에게 특히 위험할 수 있습니다.

🪱 심장사상충 (Heartworms)

모기에 의해 감염되는 기생충으로, 강아지의 심장과 폐에 심각한 손상을 줄 수 있습니다.

감염되면 호흡곤란, 기침, 피로감 등의 증상이 나타나며, 치료가 어렵기 때문에 예방이 중요합니다.

강아지 기생충 감염 경로

강아지는 다양한 경로를 통해 기생충에 감염될 수 있습니다.

  • 다른 강아지와 접촉: 감염된 강아지와 접촉하면 벼룩이나 진드기 등이 쉽게 옮겨갈 수 있습니다.
  • 오염된 환경: 풀밭, 흙, 감염된 배설물이 있는 곳에서 놀다가 기생충을 옮길 수 있습니다.
  • 오염된 음식 섭취: 회충이나 촌충 같은 내부 기생충은 감염된 동물의 배설물이나 오염된 음식을 통해 전염됩니다.
  • 모기 물림: 심장사상충은 모기를 통해 감염될 수 있어, 모기 활동이 활발한 계절에는 특히 주의해야 합니다.

강아지 기생충 예방 방법

기생충 감염을 예방하는 것이 강아지의 건강을 지키는 가장 좋은 방법입니다.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기생충 예방을 철저히 할 수 있습니다.

1) 정기적인 구충제 투여

수의사와 상담하여 강아지의 연령과 체중에 맞는 구충제를 정기적으로 투여해야 합니다.

내부 기생충 예방을 위해 최소 3개월에 한 번씩 구충제를 먹이는 것이 좋습니다.

2) 외부 기생충 예방

벼룩과 진드기 예방을 위해 약용 샴푸, 스프레이, 목걸이 또는 바르는 약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야외 활동 후에는 강아지의 털과 피부를 꼼꼼히 점검하여 기생충이 있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3) 위생 관리 철저

강아지의 생활 공간을 깨끗하게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정기적으로 강아지 침구와 장난감을 세탁하고, 실내 청소를 철저히 해야 합니다.

4) 야외 활동 후 검사

산책이나 외출 후 강아지의 몸을 꼼꼼히 살펴서 진드기나 벼룩이 붙어있는지 확인하세요.

발바닥과 귀 안쪽도 잘 살펴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5) 깨끗한 식수와 음식 제공

오염된 음식이나 물을 먹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날것의 고기나 생선을 주는 것은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강아지가 기생충에 감염되었을 때 대처 방법

만약 강아지가 기생충에 감염되었다면 즉시 수의사의 진료를 받아야 합니다.

기생충 감염은 방치할 경우 심각한 건강 문제를 초래할 수 있으므로 빠른 대처가 필수적입니다.

  • 수의사 방문: 강아지가 설사, 구토, 피부 가려움증 등의 증상을 보이면 즉시 병원에 방문하세요.
  • 약물 치료: 기생충 감염 유형에 따라 적절한 치료 약물을 처방받아야 합니다.
  • 생활 환경 소독: 기생충이 다시 감염되지 않도록 강아지의 생활 공간을 철저히 청소하고 소독해야 합니다.

결론

강아지 기생충은 예방이 가장 중요하며, 정기적인 건강 관리와 위생을 유지하는 것이 필수적입니다. 외부 기생충과 내부 기생충의 종류를 알고 예방 방법을 실천하면 강아지를 건강하게 보호할 수 있습니다. 강아지가 기생충으로부터 안전하게 생활할 수 있도록 평소 세심한 관심을 기울여 주세요!